맨위로가기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는 2002년 12월 7일부터 판매된 대한민국의 복권으로, 45개의 숫자 중 6개를 선택하여 추첨 결과와 일치하는 숫자의 개수에 따라 당첨금을 지급한다. 초기에는 나눔로또 6/45라는 명칭으로 판매되었으며, 현재는 동행복권에서 판매하고 있다. 추첨 방송은 MBC TV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되며, 조작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경찰이 참여한다. 로또 6/45의 판매 수입은 당첨금, 복권기금, 판매점 수수료 등으로 배분되며, 복권기금은 공익사업에 사용된다.

2. 로또 6/45 역사

Lotto 6/45영어는 2002년 12월 7일 처음 판매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복권이다.[1] 초기에는 '나눔로또 6/45'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나, 2018년 12월 8일부터 판매사가 동행복권으로 변경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1]

2018년 12월 8일(836회)을 기점으로 로또 추첨 방송사와 복권수탁사업자가 변경되었다. 추첨 방송사는 SBS에서 MBC로, 복권수탁사업자는 나눔로또에서 동행복권으로 변경되었다.[1]

2. 1. 로또 6/45의 특징

Lotto 6/45영어는 2002년 12월 7일부터 나눔로또에서 판매하기 시작한 복권이다.[1] 당시에는 '''나눔로또 6/45'''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며, 2018년 12월 8일부터 판매사가 동행복권으로 변경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1]

보통 '로또복권' 또는 '로또'라고 줄여 부르며, 45개의 숫자 중 6개를 선택하고 토요일 생방송 추첨 결과와 일치하는 숫자의 개수에 따라 당첨금을 받는다. 이때 숫자 순서는 당첨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1]

2018년 12월부터 복권수탁사업자가 나눔로또에서 동행복권으로 변경되었고, 836회를 기점으로 로또 추첨 방송사도 SBS에서 MBC로 바뀌었다.[1]

2. 2. 로또 6/45 방송 특징

2002년 12월 7일부터 2018년 12월 1일까지 SBS TV에서 '''생방송 브라보 나눔로또'''라는 이름으로 추첨방송을 진행했다.[1] 2018년 12월 8일부터는 주관 방송사가 MBC TV로 변경되어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라는 이름으로 추첨방송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전과 달리 황금손을 뽑아서 추첨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

로또 6/45 추첨 과정에서 조작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경찰이 공개 추첨 스튜디오 녹화장을 CCTV를 통해 감시 및 통제한다.

2. 3. 역대 MC 및 도우미(패널)

방송사기수MC기간
SBS-TV1기박찬민, 이미진2002년~2006년
2기박찬민, 이하은2006년~2007년
3기박찬민, 유주현2007년~2008년
4기박찬민, 김나영2008년~2009년
5기박찬민, 윤진수2009년
6기박찬민, 조수아2010년
7기김환, 조수아2010년
8기김환, 설초록2011년~2015년
9기김환, 고예슬2015년~2016년
10기김환, 고은빛2016년
11기박찬민, 고은빛2016년~2018년
MBC-TV12기서경석, 임현주2018년~2019년
13기서경석, 김초롱2019년~2020년
14기서경석, 박연경2020년~2023년
15기서경석, 이영은2024년 ~ 현재



2002년 12월 7일부터 2018년 12월 1일까지 SBS TV에서 '''생방송 브라보 나눔로또'''라는 이름으로 추첨방송을 진행했다.[1] 2018년 12월 8일부터는 MBC TV에서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라는 이름으로 추첨방송을 진행하고 있다.[1]

3. 로또 6/45 구입 및 당첨 여부 판정 방법

로또 6/45는 45개의 숫자 중 6개를 골라 맞히는 복권으로, 숫자의 순서는 당첨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002년 12월 7일 '''나눔로또 6/45'''라는 이름으로 처음 판매되었으며, 2018년 12월 8일부터는 판매사가 동행복권으로 바뀌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1] 2018년 12월부터 복권수탁사업자가 나눔로또에서 동행복권으로 변경되었으며, 836회를 기하여 로또 추첨 주관방송사 역시 SBS에서 MBC로 전환되었다.

로또 6/45 복권은 매주 토요일 오후 8시에 판매가 마감되며, 8시 35분 전후에 추첨이 진행된다.[2] 당첨 번호는 6개와 2등 보너스 번호 1개로 구성되며, MBC TV에서 생방송으로 추첨한다.[2] 스마트폰으로 복권의 QR코드를 찍으면 당첨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2]

당첨금 지급 기한은 은행 영업일 기준으로 1년이며, 지급 기한 마감일이 토/일/공휴일일 경우에는 그 다음 은행 영업일을 지급 기한 마감일로 한다. 지급 기한까지 찾아가지 않은 당첨금은 복권 기금으로 전액 귀속된다. 로또 복권 구입 가능 시간은 매주 토요일 20시까지이며, 대한민국에서는 만 19세 이상 성인만 복권 구입이 가능하다. 구매 한도는 1인당 10만원이다.

로또 6/45 볼(Ball) 색상
1~10
11~20
21~30
31~40
41~45


3. 1. 구입 방법

로또 6/45 복권을 구매하려면 검은색 컴퓨터용 수성 사인펜으로 마킹해야 한다. 자동선택에 마킹하면 해당 게임의 번호는 단말기에서 무작위로 선택된다. 1~5개의 숫자를 마킹한 후 자동선택에 마킹하면 나머지 숫자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된다. 취소에 마킹하면 해당 게임은 하나 이상의 숫자에 마킹을 했어도 무효 처리된다.

모든 게임을 자동선택으로 구매하려면 판매자에게 "자동 주세요"라고 말하면 된다.

로또6/45 초창기의 국민은행용 슬립은 2007년에 새로 바뀐 나눔로또용 슬립과 전혀 호환되지 않아 현재는 사용할 수 없다.

3. 2. 가격

로또 6/45 복권은 2004년 8월에 게임당 가격이 2000원에서 1000원으로 인하되었으며, 이월 횟수도 2회로 제한되었다.[1]

3. 3. 당첨 여부 판정 방법

매주 토요일 8시에 판매가 마감되고 8시 35분 전후로 해당 회차의 당첨 번호 6개와 2등 보너스 번호 1개가 추첨된다.[2] 추첨은 MBC TV를 통해 생방송으로 진행되며, 아래 표를 기준으로 당첨 여부를 판정한다.[2] 스마트폰으로 복권의 QR코드를 찍으면 더욱 쉽게 당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2]

등위일치 개수보너스1게임당 당첨금b확률조합 수
1등6개S * 0.75 / C₁1/8,145,0601
2등5개일치S * 0.125 / C₂1/1,357,5106
3등5개불일치S * 0.125 / C₃1/35,724228
4등4개50,000원1/73311,109
5등3개5,000원1/45182,774


  • S = 총당첨금(4등 및 5등 당첨금액 합계 제외), Cn = n등 총 당첨자 수b
  • a: 보너스 번호는 일치 개수에 포함되지 않고, 2등과 3등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이용된다.
  • b: 여기서 1인이라 함은 복권을 구입한 사람의 숫자가 아닌 해당 게임의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2등에 당첨된 사람이 20명이고 그중 한 사람이 2등에 당첨된 복권을 두 장 구입했다면 2인으로 계산되어 2등 당첨자 수는 21게임으로 된다.


4등 당첨금은 5만원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401회차부터 전국의 로또 6/45 판매점에서도 당첨금을 수령할 수 있게 되었다.[3] 당첨금이 3억원 이하면 22%(소득세 20%, 주민세 2%)를 세금으로 납부하지만, 3억원을 초과하면 33%(소득세 30%, 주민세 3%)를 세금으로 내야한다.[4]

당첨금 지급 기한은 은행 영업일 기준으로 1년이다. 지급 기한 마감일이 토/일/공휴일일 경우에는 그 다음 은행 영업일을 지급 기한 마감일로 간주한다. 지급 기한까지 찾아가지 않은 당첨금은 복권 기금으로 전액 귀속된다.

로또 복권 구입 가능 시간은 매주 토요일 20시까지이며, 대한민국에서는 만 19세 이상 성인만 복권 구입이 가능하다. 구매 한도는 1인당 10만원이다.

4. 각종 기록

(내용 없음)

4. 1. 로또 1등 당첨자의 특징

樂透|뤄터우중국어 1등 당첨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징내용
표본85m2 이하 아파트를 소유한 고졸의 기혼 40대 생산직
복권 구입 이유
당첨금 사용 계획
당첨 사실 공개 여부 (기혼)
꿈 관련 통계 (꿈을 꾸고 복권 구매)
번호 선택 방식


5. 판매 수입의 배분

로또 6/45 한 게임(1000원 기준)의 판매 수입은 다음과 같이 배분된다.[5]

구분금액비고
당첨금500원
복권기금420원
판매점 수수료55원
사업운영 수수료20원
추첨방송·복권유통5원



조성된 복권기금은 법정배분사업에 35%, 공익사업에 65%가 배분된다. 공익사업은 서민 주거 안정 지원, 소외 계층 복지 지원, 보훈 복지 지원, 문화 예술 진흥, 재해 재난 지원 등으로 구분된다.[5]

6. 조작 의혹

로또복권 추첨 과정에서 조작이 있다는 의혹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의혹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 의혹은 로또 당첨 번호를 조작한다는 것이다. 공의 무게나 재질을 다르게 하여 특정 번호가 높게 나오게 해 번호를 의도대로 나오게 한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의혹은 유령 당첨자를 설정하여 1인당 당첨 금액을 적게 한 후 나머지 금액을 빼돌린다는 의혹이다. 1등 당첨 확률이 800만분의 1[6]에 불과한데도 불구하고 매주 1등 당첨자 수가 10여 명씩 나오는 것도 이러한 의혹의 근거가 되었다. 이러한 의혹은 여러 언론에서 취재되었으나 확실한 증거는 밝혀진 바 없다. 조작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추첨 자리에 방청객들을 입회시키고, 로또 추첨을 생방송으로 진행하고 있다. 감사원 조사에서도 조작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로또 추첨(8시 45분) 이후에 복권이 팔렸다는 의혹에 대해서 나눔로또 측은 "보정 시스템과 감사 시스템 등 데이터 처리 시점이 다른 두 개의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복권 시스템에 대한 오해에서 생긴 일"이라고 밝혔다. 또한 매주 당첨 시마다 당첨자 수가 크게 달라지는 것은 사람이 찍을 경우 특정 번호에 몰리는 현상 때문이라는 해명이다.[7]

7. 한국의 복권사업 통합

한국의 복권 사업은 여러 차례 통합 과정을 거쳤다. 2007년 이전까지 로또 6/45는 국민은행이, 인쇄복권은 한국주택은행 및 정부가, 전자복권은 한국연합복권이 각각 발행하였다. 2007년 12월 2일부터 나눔로또가 2기 사업자로 선정되어 로또 6/45 발행을 담당하게 되었다.

2008년 12월 28일, 한국연합복권 설립 합의 및 인쇄/전자복권사업 수탁사업자 공동합의서[1]가 작성되었고, 2009년 3월 23일 한국연합복권 법인이 설립되었다.[1] 2009년 3월 31일에는 복권위원회와 인쇄/전자복권사업 위수탁계약을 체결하였다.[1]

2013년 12월 2일, 나눔로또가 3기 통합 복권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한국연합복권이 담당하던 인쇄복권 및 전자복권 사업을 이관받았다.[8] 이에 따라 한국연합복권은 2013년 11월 30일부로 복권 발행 및 판매 업무를 종료하였다.[1]

2018년 12월 2일부터는 동행복권이 4기 통합 복권 사업자로 선정되어 현재까지 복권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기간사업자비고
2002년 12월 2일 ~ 2007년 12월 1일국민은행 컨소시엄1차
2007년 12월 2일 ~ 2013년 12월 1일나눔로또 컨소시엄 (유진그룹, 농협[9] 등)2차
2013년 12월 2일 ~ 2018년 12월 1일나눔로또 컨소시엄 (나눔로또와 한국연합복권 통합)3차 (복권 통합 사업자)
2018년 12월 2일 ~ 현재동행복권4차


7. 1. 복권사업 통합 전의 한국연합복권

한국연합복권주식회사는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가 지정한 인쇄 및 전자복권 수탁사업자였다.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등 8개 공공기관 및 단체가 출자하여 설립되었으며, 2013년 11월 30일부로 복권 발행 및 판매 업무를 종료하고 나눔로또에 모든 복권 사업을 이관하였다.[1]

7. 1. 1. 통합 전 발행 한 복권 종류

통합 이전에는 전자복권과 인쇄복권을 발행하였다.

7. 1. 2. 한국연합복권의 연혁

날짜내용
2008년 12월 28일(주)한국연합복권 설립 합의 및 인쇄/전자복권사업 수탁사업자 공동합의서[1]
2009년 3월 23일(주)한국연합복권 법인 설립 (본사: 경기도 과천시 별양동)[1]
2009년 3월 31일복권위원회와 인쇄/전자복권사업 위수탁계약 체결[1]
2013년 11월 30일한국연합복권 관할 인쇄복권 및 전자복권 발행 및 판매 종료. 종료한 복권사업 전부를 신 통합복권사업자인 나눔로또로 이관[1]


7. 1. 3. 한국연합복권의 주주기관


7. 1. 4. 한국연합복권의 대표이사

강원순이다.

7. 2. 한국의 복권사업 통합사업자 나눔로또

한국연합복권중국어은 2008년 12월 28일 설립 합의를 거쳐 2009년 3월 23일에 설립되었으며, 2013년 11월 30일까지 인쇄 복권 및 전자 복권 발행 및 판매를 담당했다. 2013년 12월 2일, 복권 사업이 통합되면서 한국연합복권중국어이 담당하던 인쇄 복권 및 전자 복권 사업은 나눔로또로 이관되었다.[8]

복권 사업 통합 이전 한국연합복권중국어의 주요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2008년 12월 28일(주)한국연합복권 설립 합의 및 인쇄/전자복권사업 수탁사업자 공동합의
2013년 12월 2일나눔로또가 통합 복권 사업자로서 인쇄복권과 전자복권 판매 개시



한국연합복권중국어전자복권 (7종), 인쇄식 복권 (연금복권520, 스피또)을 발행 및 판매하였다. 2013년 12월 2일부터 나눔로또가 모든 복권 사업을 통합하게 되면서, 한국연합복권중국어의 복권 사업은 나눔로또로 통합되었다.[8]

전자복권 7종 (트리플럭, 더블잭마이더스, 트랜져헌터, 캐치미, 파워볼, 스피드키노, 연금복권520)은 기존에 한국연합복권중국어의 위탁 판매사였던 엔젤로또, 오마이로또, 다우로또 (로또) 세 곳에서 판매되었으나, 2013년 11월 30일 18시부로 판매가 종료되고, 나눔로또의 통합 복권 포털로 통합되었다.[8]

7. 2. 1. 통합 전 나눔로또에서 발행한 복권

한국연합복권중국어은 2009년 3월 23일 설립되어 2013년 11월 30일까지 인쇄복권 및 전자복권 발행 및 판매를 담당했던 회사이다. 본사는 경기도 과천시 별양동에 있었다. 2013년 12월 2일부로 복권사업이 통합되면서, 한국연합복권중국어이 담당하던 인쇄복권 및 전자복권 사업은 나눔로또로 이관되었다.[8]

한국연합복권중국어의 주요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2009년 3월 23일한국연합복권중국어 법인 설립 (본사: 경기도 과천시 별양동)
2009년 3월 31일복권위원회와 인쇄/전자복권사업 위수탁계약 체결
2009년 12월 10일전자복권 신 발매시스템 구축 및 전자복권발행과 판매시스템 분리
2010년 1월 2일전자복권 판매 시행
2011년 7월 11일연금복권520 발행 시작
2013년 11월 30일한국연합복권중국어 관할 인쇄복권 및 전자복권 발행 및 판매 종료, 복권사업 전부를 나눔로또로 이관



한국연합복권중국어전자복권(7종), 인쇄식복권(연금복권520, 스피또)을 발행 및 판매하였다. 2013년 12월 2일부터 나눔로또가 모든 복권사업을 통합하게 되면서, 한국연합복권중국어은 복권 발행 및 판매 업무를 종료하였다.[8]

전자복권 7종(트리플럭, 더블잭마이더스, 트랜져헌터, 캐치미, 파워볼, 스피드키노, 연금복권520)은 기존에 한국연합복권중국어의 위탁판매사였던 엔젤로또, 오마이로또, 다우로또(로또) 세 곳에서 판매되었으나, 2013년 11월 30일 18시부로 판매가 종료되고, 나눔로또의 통합 복권포털로 통합되었다.[8]

7. 2. 2. 대표이사

강원순이 복권판매 종료 전까지 대표이사를 역임했다.[8] 현재 로또 6/45, 전자복권, 연금복권520을 포함한 인쇄복권을 통합으로 관할하는 동행복권 사업자의 대표이사는 조형섭이다.

7. 3. 역대 로또 6/45 사업자

기간사업자비고
2002년 12월 2일 ~ 2007년 12월 1일국민은행 컨소시엄1차
2007년 12월 2일 ~ 2013년 12월 1일나눔로또 컨소시엄 (유진그룹, 농협[9] 등)2차
2013년 12월 2일 ~ 2018년 12월 1일나눔로또 컨소시엄 (나눔로또와 한국연합복권 통합)3차 (복권 통합 사업자)
2018년 12월 2일 ~ 현재동행복권4차


7. 4. 역대 전자복권 사업자

순서사업자대표비고
2차한국연합복권강원순인쇄복권, 전자복권 사업자
위탁판매사: SG&G(오마이로또), 다우기술(로또), 엔젤로또[8]



2008년 12월 28일 ㈜한국연합복권 설립 합의 및 인쇄·전자복권사업 수탁사업자 공동합의서를 작성하고[8], 2009년 3월 23일 법인을 설립하였다. 2009년 3월 31일 복권위원회와 인쇄·전자복권사업 위수탁계약을 체결하였다.[8] 2013년 11월 30일, 한국연합복권이 담당하던 인쇄복권 및 전자복권 발행·판매가 종료되었고, 이 복권사업은 나눔로또로 이관되었다.[8]

7. 5. 역대 인쇄복권 사업자


  • 1차: 국민은행(한국주택은행 및 구 국민은행 시절 포함) 및 정부판매
  • 2차: 한국연합복권
  • 3차: 나눔로또 (2013년 12월 2일 ~ 2018년 12월 1일)
  • 4차: 동행복권 (2018년 12월 2일 ~ 현재)

7. 6. 역대 통합복권 사업자

기간사업자
2007년 12월 2일 ~ 2018년 12월 1일나눔로또
2018년 12월 2일 ~ 현재동행복권


8. 일반 주제

로또는 중화민국에서 발행하는 복권의 한 종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에서 발행하는 전자복권의 한 종류인 로또 6/45를 흔히 로또라고 부른다.

9. 관련 방송


  • 2002년 12월 7일부터 2018년 12월 1일까지 SBS TV에서 《'''생방송 브라보 나눔로또'''》라는 이름으로 추첨 방송을 진행했다.[1]
  • 2018년 12월 8일부터 MBC TV에서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라는 이름으로 추첨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이전과 달리 황금손을 뽑아서 추첨하고 있다.[1]
  • 추첨 시에는 조작 행위 등을 막기 위해 경찰이 공개 추첨 스튜디오 녹화장을 CCTV를 통해 감시 및 통제한다.
  • SBS
  • MBC
  • 연금복권520
  • 연금복권720+

참조

[1] 문서
[2] 뉴스 "[브리핑] 로또 4등 당첨금 5만원 정액제로" https://news.naver.c[...] 중앙일보 2010-03-19
[3] 뉴스 로또 401회 1등 9명 11억7천만원씩 https://news.naver.c[...]
[4] 뉴스 인생은 한방?..불황없는 로또복권 `넌 누구냐` https://news.naver.c[...] 이데일리 2011-01-29
[5] 웹사이트 꽝된 로또 내돈 5천원 어디로 가나봤더니…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2-09-08
[6] 문서
[7] 뉴스 로또당첨은 조작 되었을까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0-06-20
[8] 뉴스 나눔로또, 12월 2일부터 통합복권 홈페이지 개시 http://www.joongboo.[...] 중부일보 2013-11-22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